[김유빈 미래생각] 미래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 (2) > 실시간

본문 바로가기


실시간
Home > 건강 > 실시간

[김유빈 미래생각] 미래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 (2)

페이지 정보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김유… 작성일19-11-18 19:08

본문

↑↑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김유빈이번 국제학술대회에서 미래 연구의 의의는 의사결정권을 가진 계층 또는 사람에게 미래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신호(signal)를 주는 것이라는 점을 많은 전문가들이 언급하기도 하였다.

  즉 미래 연구가 단순히 다양한 미래 모습 발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정책으로 실행되어 원하는 모습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현재를 바꾸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국회는 입법을 통해 정부는 정책을 통해 이를 반영해야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이러한 미래 연구의 결과가 정책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채널이 명확하게 구축되어 있지 않다. 많은 미래 연구 보고서들이 언제 발간되었는지 모를 정도로 사장(死藏)되고 있다는 것은 한번 되돌아볼 일이다.

  앞서 언급한 미래 연구 체계의 논의와 연결하여 확산과 실효성에 대해 살펴보자. 정책은 결국 사회 구성원의 수용성이 없이는 실효를 얻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탄소 제로 사회로의 과감한 전환, 과학기술의 발전 범위에 대한 사회적 합의, 협력을 가능케 하는 사회적 시스템 구축 등 많은 미래 정책들이 사회적 수용성을 필요로 한다. 즉 수용성은 그러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근거가 되었던 예측 연구로부터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의사결정권을 가진 계층과 사람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국민이 최종적 미래 연구결과의 고객이 되어야 한다. 미래 문해력(literacy)은 미래 연구의 결과가 쉬운 언어로 전환되어 보다 많은 구성원에게 전파될 때 제고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결국 미래 정책의 수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래 연구 과정에서 시민참여가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올해 국회미래연구원은 살고 싶은 미래를 유형화하고 이를 국민 공론조사를 통해 확인할 예정에 있다. 그간 정부에서 추진된 미래 연구에서 공청회, 시민참여 자문단 등 시민참여 방안을 시도한 사례가 있었으나 살고 싶은 미래 모습을 직접 물어보고 이를 정책과 연계하는 시도는 없었다.

  앞으로는 한발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알고 싶어 하는 미래가 무엇인지, 바라는 미래 지향점은 어디인지, 미래를 위한 정책 대안 중 무엇을 선택하려 하는지 등 시민의 의사를 확인하거나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과정을 더욱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지난 9월 국제학술대회와 더불어 '대한민국 희망과 새로운 미래'라는 주제로 미래전략 컨퍼런스가 개최된 바 있다. 국회미래연구원이 출범함에 따라 입법부와 행정부의 미래 연구기관이 한자리에 모이는 진귀한 풍경이 연출되었다. 또한 시계(時界)를 2050까지 확장한 많은 연구들이 정부와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미래 형성 요인이 더욱 복잡해지는 추세 속에서 이러한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시도와 도전에만 그치지 않고 미래 연구가 더욱 많은 공감을 바탕으로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방법, 체계, 확산 측면 이외에도 질적 제고를 위한 방안들이 반드시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끝>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김유…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울릉·독도 신문. All rights reserved.
뉴스출처 : 경북신문 (www.kbsm.net)